목차
안녕하세요!
스테이킹을 통해 유동성을 제공하는 스타파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스타파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는지, 특징과 FIS 토큰에 대해 알아보고 글쓴이의 의견으로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스타파이(FIS)란?
스타파이(FIS)는 폴카닷의 블록체인 기술 프레임워크인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를 기반으로 설계된 디파이(DeFi) 프로토콜입니다. 폴카닷 생태계를 기반으로 하며, 사용자들이 스테이킹 자산에 대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스타파이를 통해 PoS(지분증명) 코인을 스테이킹하면, 해당 코인을 기반으로 생성된 보상 토큰인 rToken을 받을 수 있습니다. rToken은 PoS 코인과 1:1 비율로 연동되어 있어, 사용자가 스테이킹하는 PoS 코인과 동일한 수량을 받을 수 있습니다. rToken을 통해 사용자는 스테이킹 보상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EX(탈중앙화 거래소), CEX(중앙집중식 거래소), 디파이 프로토콜 등에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즉, 스타파이는 스테이킹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자금의 고정된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하였으며, 스테이킹으로 rToken을 발행하여 거래, 상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타파이(FIS)의 작동원리
StaFi는 DeFi 사용자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을 통해 사용자들은 지분 증명 자산을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스테이킹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Sta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토큰을 스테이킹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스테이킹한 자산에 대한 대가로 사용자는 1:1 비율로 토큰을 받게 됩니다. 이러한 디지털 자산은 모든 스테이킹 풀에 대해 발행되며, rDOT, rATOM, rBNB 등 다양한 토큰이 유통됩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자산이 언제든지 거래 및 상환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용자들은 rToken을 활용하여 스테이크 된 자산의 유동성을 잠금 해제하고 투자 기회를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스테이킹 전략에 있어서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DeFi 사용자들은 이제 수동적인 수익을 확보하면서 적극적인 거래 기회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원화를 예금, 적금에 넣어두면 1:1 비율로 다른 형태의 통화로 발급되고, 이를 투자, 거래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면서 수동적인 수익 외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스타파이(FIS)의 특징
스테이킹을 통한 유동성을 제공하는 스타파이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스테이킹 보상의 유동성 제공
StaFi는 사용자가 스테이킹한 자산에 대한 보상을 대체할 수 있는 유동적인 자산을 제공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스테이킹된 자산을 보유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스테이킹 자산과 1:1 교환
사용자가 스테이킹한 자산에 대한 대가로, StaFi는 1:1 비율로 토큰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토큰은 스테이킹 풀에 대한 대체 가능한 표준화된 토큰으로, 다양한 블록체인 자산과 연동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토큰 지원
StaFi는 다양한 블록체인 자산을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rDOT, rATOM, rBNB 등의 다양한 토큰이 유통되며,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선호하는 자산을 스테이킹할 수 있도록 합니다.
유동성 잠금 해제
사용자들은 rToken을 활용하여 스테이킹된 자산의 유동성을 잠금 해제하고 필요한 때에 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스테이킹 자산을 보유하면서도 투자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합니다.
적극적 거래 기회 제공
StaFi의 접근 방식은 사용자들이 수동적인 수익을 확보하면서도 적극적인 거래 기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DeFi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합니다.
스타파이(FIS) 토큰의 용도
스타파이에서 사용하는 토큰은 FIS입니다. 최대 발행량은 약 1억 4천만 개이며 모두 발행되었습니다. 이 중 2024년 4월 기준으로 약 1억만 개가 시장에 유통 중입니다. FIS 토큰은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스테이킹 보상 및 네트워크 보안
FIS 토큰은 사용자가 스테이킹하여 네트워크의 검증자(validator) 또는 위임자(delegator)로 참여할 때 보상으로 받을 수 있는 보증금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네트워크의 보안과 운영에 기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네트워크 수수료 결제
FIS 토큰은 StaFi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의 지불에 사용됩니다. 이는 네트워크의 거래 활동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지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rToken 생성 및 상환
FIS 토큰은 사용자가 rToken을 생성하거나 상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rToken은 사용자가 스테이킹한 자산을 대체하는 유동적인 토큰으로, FIS 토큰과 1:1로 교환됩니다.
투표 및 거버넌스
FIS 토큰은 StaFi 네트워크의 거버넌스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들은 FIS 토큰을 보유하여 네트워크 업데이트, 프로토콜 변경, 투표 및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생태계 활동
FIS 토큰은 StaFi 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활동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태계 내에서의 파트너십, 개발자 보상, 생태계 기여 등에 대한 보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결론
스타파이는 스테이킹으로 발생하는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하였으며, rToken이라는 토큰은 이용하여 유동성을 제공합니다. 스테이킹을 하게 되면 스테이킹된 자산들은 움직이지 못하여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가 없는데, 스타파이는 활용 가능하게 만드는 플랫폼으로 rToken을 활용하여 더욱 큰 수익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다만 스테이킹한 자산을 해제할 때에는 그만큼의 rToken이 필요하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마냥 자산이 묶여있는 것보다 수동적 수익에 더해 다른 활동까지 할 수 있는 점은 투자자들에게 충분히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스타파이(FIS) 실시간 시세
'재테크 > 가상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로제닉(Sologenic), SOLO 코인 5분만에 알아보자 (5) | 2024.05.02 |
---|---|
디아(DIA) 코인, 5분만에 알아보자 (40) | 2024.05.01 |
코모도(Komodo), KMD 코인 2분만에 알아보자 (29) | 2024.04.29 |
오리온(Orion), ORN 코인 2분만에 알아보자 (39) | 2024.04.28 |
하베스트 파이낸스(Harvest Finance), FARM 코인 2분만에 알아보자 (35) | 202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