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러시아의 이더리움이라고 불리는 웨이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웨이브(WAVES)란?
웨이브는 2016년 알렉산더 사샤 이바노프(Alexander Sasha Ivanov)가 개발한 암호화폐의 개발, 전송, 거래를 위한 오픈 소스 블록체인입니다. 웨이브 플랫폼은 사용자가 디지털 자산을 생성 및 출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지갑을 이용하여 쉽게 전송할 수 있고, 자체 플랫폼 안에 내장된 피투피(P2P) 방식의 암호화폐 거래 기능을 이용해 탈중앙화 거래소(DEX)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플랫폼은 쉽고 단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 사용 경험이 거의 없더라도 모든 기능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즉, 효율성 제고를 통해 전문가뿐만 아니라 입문자도 거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웨이브는 2016년 4~5월 ICO를 통해 30,000만 BTC, 당시 가치로 약 200억 원을 투자받았습니다. 이 금액은 2016년 당시 기준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ICO 모금액이었다. 웨이브 블록체인은 2016년 3분기에 출시되었습니다. 2018년 웨이브는 웨이브 고유의 프로그래밍 언어인 Ride로 작성된 스크립트가 부착된 토큰인 Smart Assets생성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웨이브(WAVES)의 작동원리
기본적으로 확률 합의 POS시스템이기 때문에 10,000개의 코인을 보유한 이용자들은 풀노드(full node)가 되어 처리하는 거래에 대한 수수료를 받습니다. 더 나아가 웨이브는 자신의 지분을 양도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 LPoS를 구현합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믿음직만 한 풀 노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해서, 거래 시간을 단축하고 더 많은 거래를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지분을 양도하여도 코인이 실질적으로 지갑에서 나가는 것은 아닙니다.
웨이브즈는 웨이브즈 엔지(Waves NG)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분당 6,000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함으로써 확장성(scalability)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기존 비트코인의 경우 1초에 3건, 이더리움의 경우 5건 정도의 트랜잭션만 처리할 수 있어서 확장성 문제가 심각한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하지만 웨이브즈의 경우 빠른 처리 속도를 보장하는 지분증명 네트워크를 위해 업데이트된 웨이브즈-엔지(Waves-NG) 프로토콜이 플랫폼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웨이브즈 엔지 프로토콜은 기존 비트코인 엔지 프로토콜의 스피드와 확장성을 발전시킨 것입니다. 기존에는 블록을 생성하는데 약 1분의 시간이 소요됐던 것을, 각 블록을 마이크로 블록(micro block)으로 분할함으로써, 하나의 마이크로 블록을 채굴하는데 1~3초 만에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웨이브는 이더리움과 같이 스마트 컨트랙트를 쓰지만 좀 더 간단하게 구현합니다. 또한, 이더리움의 경우는 world’s computer라는 수식어에서 알 수 있듯이 플랫폼 위에서 모든 것이 구동되지만, 웨이브는 플러그인(plugin) 방법으로 운영되어 소프트웨어가 웨이브 위에 지어지는 게 아니라 웨이브 플랫폼과 상호작용합니다.
웨이브(WAVES)의 특징
쉬운 사용성
Waves 플랫폼은 사용자 친화적이며, 블록체인 개발 및 자산 발행을 비교적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비개발자도 자산을 발행하고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자산 발행
Waves 플랫폼을 사용하면 사용자들은 자신의 토큰 및 디지털 자산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 개인, 프로젝트 등은 자체 암호화폐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분산 거래소
Waves 플랫폼은 내장된 분산 거래소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들은 이 거래소에서 Waves 및 기타 자산을 거래할 수 있으며, 거래 수수료가 비교적 낮습니다.
스마트 계약
Waves는 스마트 계약 개발을 지원하며, RIDE 언어를 사용하여 스마트 계약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 개발을 위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보안
Waves 플랫폼은 안전하고 안정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보안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속도와 확장성
Waves는 빠른 거래 처리 속도와 확장성을 제공하며, 대용량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트레이싱 및 토큰화
Waves는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에 토큰화하여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부동산, 예술품, 금 등과 같은 다양한 자산을 표현하고 거래할 수 있게 해 줍니다.
파트너십 및 생태계
Waves는 다양한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생태계를 확장하여 블록체인 커뮤니티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웨이브(WAVES) 토큰의 용도
수수료 지불
웨이브는 웨이브 테크의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이나 코인, NFT(대체불가능토큰) 등을 만들 때 지불하는 수수료로 사용됩니다. 코인을 만들 땐 웨이브 한 개, NFT를 만들 땐 웨이브 0.001개를 냅니다.
플랫폼 운영
웨이브는 웨이브 테크의 블록체인 플랫폼을 운영하는 데에도 쓰입니다. 블록체인 플랫폼은 일반적으로 ‘노드’라는 역할을 수행하는 이들의 투표로 운영 방향을 결정합니다. 노드들은 블록체인 플랫폼 안에서 이뤄지는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서버 역할을 하는데, 기업의 대주주들처럼 회사의 중대 사안을 결정하는 데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노드 보상
실제로 웨이브 테크에선 주식처럼 일정 개수 이상의 코인(웨이브)을 보유한 이들이 노드로 참여합니다. 이런 방식을 ‘지분 증명(PoS)’이라고 부릅니다. 각 노드들은 플랫폼 운영사인 웨이브 테크로부터 보유한 코인에 비례해 주식 배당금 격인 보상을 받습니다.
웨이브(WAVES) 제휴
러시아 중앙예탁결제기관
2017년 7월 러시아의 중앙예탁결제기관인 NSD(National Settlement Depository)와 웨이브즈가 디지털 자산을 지원하기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NSD 이사회 의장인 에디 아스타닌(Eddie Astanin)은 크립토 자산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전통적인 기관투자자, 거래 후 인프라와 전 세계 금융 당국에서 엄청난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NSD는 웨이브즈와 협력하여 디지털 자산을 위한 안전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회계 인프라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웨이브즈 플랫폼은 모든 관련 당사자들에게 기술적 및 법적 보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투자자, 관리인 및 새로운 기관을 위한 다양한 사후 거래 서비스를 확대할 수 있습니다.
러시아 버거킹
버거킹 러시아 법인은 전체 매장에 와퍼코인(Whoppercoin)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와퍼코인은 웨이브즈 플랫폼 위에서 작동하는 디앱(DApp)의 일종이다. 와퍼코인은 처음 포인트 형태로 시작되었습니다. 고객이 와퍼를 하나 구입할 때마다 1개씩 지급되어 현재 약 10억 개의 코인이 발행됐습니다. 이 코인이 웨이브즈 플랫폼(Waves platform)을 통해 지급되고 있으며 동시에 고객 개개인의 계좌에 보관되고 있습니다. 발행량이 10억 개를 넘어서자 암호화폐로서 통용될 가치가 충분하다는 판단하에 와퍼코인을 러시아 버거킹 전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 중입니다.
싱가포르 정부
웨이브즈는 2017년 싱가포르 정부와 함께 ICO 관련 표준안을 따르는 토큰 판매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웨이브즈는 싱가포르 정부 당국과 6개월간 협업해 모든 규제를 따르는 ICO 토큰 판매 플랫폼을 론칭하고, 토크노미카 기구를 설립함으로써, 마치 기업이 IPO 하기 전에 투자은행을 찾는 것처럼, 블록체인 기업이 ICO를 하기 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고자 합니다.
웨이브(WAVES) 실시간 시세
Waves (WAVES) 가격, 차트, 시가총액 | 코인마켓캡
The live Waves price today is ₩2,106.74 KRW with a 24-hour trading volume of ₩51,469,783,369.80 KRW. We update our WAVES to KRW price in real-time.
coinmarketcap.com
'재테크 > 가상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하이파이(HIFI)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4) | 2023.09.16 |
---|---|
[가상자산] 라이브피어(LPT)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5) | 2023.09.15 |
[가상자산] 스테픈(GMT)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26) | 2023.09.15 |
[가상자산] 앵커(ANKR)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31) | 2023.09.15 |
[가상자산] 저스트(JST)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4) | 202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