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더양한 체인 간의 토큰 전송을 가능하게 지원하는 크로스체인 유동성 풀 브리지, 스타게이트파이낸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타게이트파이낸스(STG)란?
2022년 3월에 출시한 스타게이트 파이낸스(Stargate Finance)는 다양한 체인사이에서의 유동성 풀을 활용하여 토큰 전송을 가능하게 지원하는 크로스체인 유동성 풀(cross-chain liquidity pool) 브리지입니다. 지금까지 팬케이크 스왑(DEX), Bushiswap(DEX), Bunge(브리지 애그리게이터) 등으로 통합되었습니다.
스타게이트는 옴니체인 탈중앙 금융의 핵심인 완전 구성 가능한 유동성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스타게이트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탈중앙화 금융(DeFi) 프로토콜과 디앱(DApp)에서 서로 다른 유동성 풀 간에 자산을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 프로토콜의 통합 유동성 풀에 즉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8개 체인 전송을 지원합니다. (이더리움, 아발란체, 폴리곤, 메티스, BNB체인, 아비트럼, 옵티미즘, 팬텀)
기존의 크로스 체인(Cross Chain)은 체인과 체인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간의 브리지(Bridge) 역할이 되어, A블록체인을 B블록체인으로 옮길 수 있었는데, 이 기술의 위험성은 사이의 연결고리가 해킹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스타게이트는 양쪽으로부터 증명 & 블록 헤더를 받아서 두 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트랜잭션을 실행시키기 때문에 매우 안전합니다.
또한, 자체 알고리즘인 델타를 적용해 여러 체인을 연결하여 통합된 유동성과, 네이티브 자산 전송과 더불어 완결성까지 보장해 주는 브리지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즉각적인 완결성이 보장된 통합된 유동성 풀에 접근하여 서로 다른 체인 간 네이티브 자산들은 전송할 수 있습니다.
스타게이트파이낸스(STG)의 작동원리
대부분의 브리지들은 락업 방식이기 때문에, 네이티브 자산의 거래가 불가능했습니다. 쉽게 말해서 BTC와 ETH를 거래하고 싶으면 래핑 된 wBTC 같은 토큰을 발행해서 거래해야 하기 때문에, 중앙화된 커스터디에 의존해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SOL과 ETH의 브리지 Wormhole 해킹도 이 방식의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에서 일어난 사태입니다.
그러나 스타게이트(Stargate)는 델타(Delta) 알고리즘을 활용해서 네이티브 자산 전송, 즉각적인 완결성, 통합된 유동성의 트릴레마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델타 알고리즘을 적용한 브리지를 디앱에 결합할 수도 있습니다. 브리지를 결합한 디앱은 크로스체인 거래가 한 번의 트랜잭션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델타 알고리즘은 각 블록체인에 위치한 엔드 포인트(end point)들이 다른 체인에 위치한 엔드 포인트들에게 할당량을 알려주는 방식으로, 델타 브리지를 디앱에 결합하면 해당 디앱에서 크로스체인 거래가 단 한 번의 트랜잭션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스타게이트는 토르체인과 같이 네이티브 자산거래가 가능한 크로스체인 브리지입니다. 그러나 토르체인보다 높은 보안성을 자랑합니다. 레이어 0(LayerZero)이라는 프로토콜을 활용하기 때문에 가능한데, 이 프로토콜은 쉽게 말해서 오라클(Oracle)과 Relay Node가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악의적인 공격을 위해서는 오라클과 Relay Node 모두 동반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그럴 확률은 아주 낮으며, 앤드 포인트마다 사용되는 오라클과 Relay Node는 모두 개별적이기 때문에 특정 앤드포인트가 위험에 노출되더라도 스타게이트 전체에 피해를 줄 수 없습니다.
스타게이트파이낸스(STG)의 특징
단일 트랜잭션으로 체인 간 스왑을 지원
스타게이트 파이낸스 측에 따르면 델타 알고리즘은 브리지 트릴레마를 해결합니다. 브리지 트릴레마의 해결은 브리지가 소스 체인의 네이티브 자산 전송 트랜잭션을 받고 즉각적으로 타깃 체인의 네이티브 자산을 호출하는 것이 가능해졌음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즉각적인 완결성이 보장되면, 하나의 트랜잭션에 소스 체인에서의 스마트 컨트랙트와 타깃 체인에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할 수 습니다. 즉, 스타게이트 파이낸스는 소스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와 타깃 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결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일반 리테일 유저의 입장에서 이것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즉각적인 완결성이 보장되지 않아 각 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하나의 트랜잭션에 통합할 수 없는 경우, 온체인에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ETH 토큰을 아발란체 네트워크의 AVAX 토큰으로 스왑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수반됩니다.
① ETH 토큰을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탈중앙화 거래소(DecentralizedExchange, DEX)에서 동일 네트워크의 스테이블 코인으로 스왑
② 브리지를 통해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스테이블 코인을 아발란체 네트워크의 스테이블 코인으로 교환
③ 아발란체 네트워크의 DEX에서 아발란체 네트워크의 스테이블 코인을 AVAX 토큰으로 스왑
즉 기존의 네트워크 간 토큰 스왑 거래는 유저로 하여금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의 스왑, 크로스체인 브리지의 사용, 그리고 아발란체 네트워크에서의 스왑으로 총 3번의 트랜잭션을 수행하도록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스타게이트 파이낸스는 소스 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와 타깃 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결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스왑 컨트랙트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DEX와 스타게이트 파이낸스의 협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DEX의 유저는 위의 세과정을 단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즉, 유저들은 브리지의 작동방식, 심지어는 브리지의 존재 자체를 알지 못하더라도 DEX의 UI를 벗어나지 않은 채로 네트워크 간 토큰 스왑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동성 공급자에 대한 보상
리테일 유저 입장에서 스타게이트 파이낸스가 가지는 강점과 무관하게, 프로토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유동성 공급자들의 참여가 필수적입니다. 델타 알고리즘을 활용한 스타게이트 파이낸스의 브리지 방식은 통합된 유동성 풀을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스타게이트 파이낸스의 유동성 풀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닙니다.
스테이블 코인 위주의 유동성 풀 구성
스타게이트 파이낸스의 유동성 풀은 브리지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한 것이기에 다양한 토큰 풀을 구성하는 것보다는 주요 스테이블 코인을 위주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고 합리적입니다.
싱글 페어 유동성 예치 지원
스타게이트 파이낸스는 네트워크 간 교환을 지향하므로 자산을 페어로 예치하는 방식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이는 유동성을 여러 토큰의 페어로 예치하는 것이 아닌 싱글 페어로 예치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싱글 페어의 예치에 대해서는 AMM 방식의 고질적인 문제인 비영구적 손실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스타게이트 파이낸스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유동성 공급자, 일명 LP(Liquidity Provider)들은 유동성 풀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자신이 공급한 유동성에 대한 증표에 해당하는 LP토큰을 지급받습니다. 스타게이트 파이낸스에 유동성을 공급하면 다음과 같은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인센티브에 의해 스타게이트 파이낸스의 LP들은 유동성 공급을 진행합니다.
① 스타게이트 파이낸스 브리지에서 일어난 트랜잭션에 대한 수수료 징수
② 유동성 공급의 증표에 해당하는 LP 토큰을 스타게이트 Farm에 제공하고 STG 토큰으로 보상을 징수
스타게이트파이낸스(STG) 토큰의 용도
스테이킹
STG의 보유자들은 STG를 스테이킹하고, 스타게이트 파이낸스에 대한 거버넌스 기능을 수행하는 양도 불가능한 veSTG 토큰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거버넌스
STG를 스테이킹하여 수령한 veSTG의 보유자는 스타게이트 파이낸스의 거버넌스 과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거래 수수료 일부 징수
STG를 스테이킹하여 수령한 veSTG의 보유자는 스타게이트 파이낸스 브리지에서 일어난 거래 수수료의 일부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해당 기능은 스타게이트 파이낸스의 거버넌스 기능을 통해 추가되었습니다.
유동성 공급자에 대한 보상
유동성 공급자들은 LP토큰을 통해 Farm을 진행하고 STG 토큰을 보상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스타게이트파이낸스(STG) 실시간 시세
Stargate Finance (STG) 가격, 차트, 시가총액 | 코인마켓캡
The live Stargate Finance price today is ₩603.09 KRW with a 24-hour trading volume of ₩12,223,260,727.32 KRW. We update our STG to KRW price in real-time.
coinmarketcap.com
'재테크 > 가상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43) | 2023.09.25 |
---|---|
[가상자산] 메탈(MTL)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6) | 2023.09.25 |
[가상자산] 룸네트워크(LOOM)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35) | 2023.09.24 |
[가상자산] 카르테시(CTSI)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4) | 2023.09.24 |
[가상자산] 에이피아이쓰리(API3)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1) | 202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