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탈중앙화 P2P 방식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구축을 지원하는 오픈소스 플랫폼, 오리진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리진 프로토콜(OGN)이란?
오리진토큰(OGN)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중개자 없이 직접 거래를 할 수 있는 공유경제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입니다. 암호화폐 비즈니스의 투자와 관련하여 초기에는 합의 알고리즘, 블록체인 성능 등 플랫폼에 대한 이슈들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실제 구현되어 사용되거나, 많은 유저들이 있는 비즈니스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이동하고 있습니다.
오리진의 공동창업자 조시 프레이저(Josh Fraser)와 매튜 류(Matthew Liu, '매튜 리우'라고도 씀)는 공유경제와 탈중앙화 P2P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관심을 가지고 2017년 5월 오리진 프로토콜을 설립했습니다. 전통사회 시스템을 탈중앙화 형태로 바꾸는 방법으로는 기존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개발하는 방법, 기존 시스템들을 이미 개발된 암호화폐 플랫폼과 연결하거나 디앱(DApp)으로 개발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이 있는데, 오리진은 후자의 서비스입니다.
오리진 프로토콜 플랫폼은 분산 데이터 프로토콜 IPFS와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자신에게 익숙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블록체인과 직접 상호작용하지 않고 다양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여러 플랫폼들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오리진은 2019년 2월 누구나 블록체인 기반 마켓플레이스를 만들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 크리에이터'(Marketplace Creator)와 모바일앱 '오리진 마켓플레이스'(Origin Marketplace)를 출시했습니다.
그리고 유틸리티 토큰인 오리진토큰(OGN)과 자체 개발한 스테이블 코인 OUSD와 탈중앙화 스토어 구축 프로그램인 디샵(Dshop)을 선보였습니다. 2021년에는 탈중앙화 P2P 마켓플레이스를 만들 수 있던 디샵처럼 개인이 NFT 스토어를 구축할 수 있는 NFT 런치패드(Launchpad) 서비스를 내놓았습니다.
오리진 프로토콜(OGN)의 주요 서비스
디샵
디샵(Dshop)은 IPFS와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된 무료 오픈소스 전자상거래 솔루션입니다. 디샵은 구글 클라우드, 브레이브(Brave), 카이버 네트워크(Kyber Network), 솔라나(Solana) 등 다양한 프로젝트들과 파트너십을 맺었습니다. 한국 ICT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의 공유숙박 위홈이 오리진 프로토콜 디샵을 이용해 구축한 스토어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NFT 런치패드
NFT 런치패드는 디샵처럼 IPFS와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으로 무료로 구축 가능한 NFT 스토어 솔루션입니다. 실제로 오리진 프로토콜에서 진행한 NFT 경매들은 각자만의 스토어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블라우(3 LAU)와 패리스 힐튼 등 유명인들이 함께 하고 있으며, 유튜브 영상 ‘찰리 비트 마이 핑거’의 NFT 경매 등 NFT 관련 시장에서도 빠르게 그 영향력을 넓혀가는 중입니다.
유명 프로듀서이자 DJ이며, 암호화폐계의 인플루언서인 블라우는 오리진 프로토콜의 NFT 런치패드를 활용해 한화로 약 133억 원의 수익을 내며 2021년 NFT 음악 산업 최고가 경매 기록을 세웠습니다. ‘찰리 비트 마이 핑거’ 비디오 NFT 경매 역시 오리진 프로토콜 NFT 런치패드를 통해 경매를 진행하며 최고가 8억 6천만 원에 낙찰되었고, 뉴욕타임스, 포브스, BBC 뿐만 아니라 국내 언론사 MBC, SBS 그리고 연합뉴스에 보도됐습니다.
OUSD
OUSD는 최초로 지갑에서 이윤을 얻을 수 있는, 오리진 프로토콜이 자체 개발한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버고엑스와 쿠코인거래소에 상장돼 있습니다. OUSD 관련 홈페이지를 별도로 개설했다는 점은 오리진이 얼마나 자신들의 스테이블 코인을 중요하게 여기는지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오리진 스토리
오리진 스토리는 2021년 11월 출시된 오리진 프로토콜의 개방형 NFT 플랫폼입니다. 오리진 NFT 런치패드는 오리진과 제휴한 아티스트만 NFT를 발행 및 판매할 수 있었습니다. 반면 오리진 스토리에서는 누구나 NFT를 발행 및 판매할 수 있습니다. NFT 경매, 2·3차 판매 등 마켓플레이스 기능을 지원합니다. 2022년 1월 기준 수수료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NFT 플랫폼에서 작품 판매 시 일반적으로 15%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하지만 오리진 스토리에서는 15%의 수수료를 오리진 프로토콜 자체 토큰 OGN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OGN은 6개월의 락업 기간 이후 사용 가능합니다. OGN을 받고 싶지 않다면 평균 수수료 15%의 절반 수준인 7.5%를 지불하면 됩니다. 오리진 프로토콜은 오리진 스토리 출시를 기념해 유명 유튜브 영상의 NFT 경매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오리진 프로토콜(OGN)의 특징
탈중앙화된 마켓플레이스
오리진프로토콜은 중앙 집중형 중개 없이 사용자들 간의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탈중앙화된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중개자 없이 서로 직접 상품 및 서비스를 거래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계약 활용
스마트 계약을 통해 거래 조건을 프로그래밍하여 자동으로 실행되며, 거래 과정에서 안전하고 투명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스마트 계약은 거래의 조건과 이행을 자동화하고, 분쟁 해결을 간소화합니다.
토큰화된 자산 및 보상
오리진프로토콜은 토큰화된 자산을 사용하여 거래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합니다. 오리진토큰(OGN)을 사용하여 거래를 할 때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플랫폼의 활동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합니다.
플랫폼의 민주적 운영 및 개방성
오리진프로토콜은 사용자 및 개발자들이 프로토콜의 개발과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민주적인 플랫폼을 지향합니다. 커뮤니티의 의견을 존중하고 참여를 장려하여 플랫폼의 발전을 촉진합니다.
보안과 투명성 강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거래 기록을 불변하고 투명하게 저장하여 안전성을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거래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접근 및 경제 포용성
오리진프로토콜은 전 세계의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글로벌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하여 경제적 포용성을 촉진합니다. 사용자들은 지리적인 제약 없이 서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오리진 프로토콜(OGN) 토큰의 용도
거래 및 결제 수단
오리진토큰(OGN)은 플랫폼에서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결제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사용자들은 오리진토큰을 사용하여 마켓플레이스에서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계약 실행 비용
오리진토큰은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기 위한 연료로 사용됩니다. 거래나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스마트 계약 실행 시에는 오리진토큰을 소모하여 해당 계약을 처리하게 됩니다.
토큰 보상 및 인센티브
사용자들은 오리진토큰을 보유하고 플랫폼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추가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플랫폼에서 활동을 통해 오리진토큰을 얻을 수 있거나,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오리진토큰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켓플레이스 운영 및 개선
오리진토큰은 마켓플레이스의 운영, 발전, 및 유지에 필요한 자금을 모으는 데 사용됩니다. 토큰의 일부는 플랫폼 개선, 마케팅, 운영, 개발자 보상 등에 할당됩니다.
플랫폼 생태계 활성화
오리진토큰은 플랫폼 내에서 상호작용과 참여를 촉진하며, 플랫폼의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성장시키는데 기여합니다.
투자 및 거래
오리진토큰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거래될 수 있으며, 일부 사용자들은 오리진토큰을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고 거래할 수 있습니다.
오리진 프로토콜(OGN) 실시간 시세
'재테크 > 가상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시빅(CVC)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5) | 2023.10.02 |
---|---|
[가상자산] 스팀(STEEM), 스팀달러(SBD)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4) | 2023.10.02 |
[가상자산] 파워렛저(POWR)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4) | 2023.10.01 |
[가상자산] 디카르고(DKA)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4) | 2023.10.01 |
[가상자산] 뉴메레르(NMR)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3) | 2023.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