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코스모스 생태계 내에서 탄생한 탈중앙화된 거래소 및 AMM 플랫폼, 오스모시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스모시스(OSMO)란?
오스모시스(Osmosis)는 인터체인 디파이 (InterchainDeFi) 운동을 전문으로 하는 자동화된 시장 형성 프로토콜(AMM)이며 Cosmos SDK 및 IBC 기술을 활용하여 자체 블록체인에 구축됩니다. 오스모시스는 맞춤형 AMM에 중점을 둔 고급 프로토콜입니다. 오스모시스는 맞춤형 AMM에 중점을 둔 고급 프로토콜입니다. 사용자는 다양한 모듈과 온체인 거버넌스 시스템으로 개별 및 고도로 맞춤화된 AMM을 생성, 구성, 설계 및 배포할 수 있습니다.
코스모스 블록체인에 존재하는 여러 토큰들을 상호교환할 수 있는 탈중앙화된 거래소로서 코스모스 생태계에서 꼭 필요한 플랫폼으로 보입니다.
오스모시스(OSMO)의 작동원리
오스모시스는 코스모스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블록체인입니다. 코스모스 SDK에는 블록체인 간의 통신을 손쉽게 가능하도록 해주는 IBC(Inter-Blockchain Communication Protocol)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체인들은 단순한 자산 전송을 시작으로 차차 더 복잡하고 다양한 종류의 상호작용들을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인터체인 구조는 코스모스 전체 생태계의 자산들과 연결된 오스모시스와 같은 AMM 허브를 탄생시켰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 보면, 현재 기준 오스모시스는 최근 24시간과 30일 모두 가장 많은 IBC 통신이 이루어진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스모시스는 IBC를 통해 다양한 자산들의 유동성을 공급받으며 코스모스 생태계의 가장 큰 AMM이자 유동성의 중심으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오스모시스(OSMO)의 특징
AMM(자동화된 시장 제조자) 모델
오스모시스는 AMM 모델을 사용하여 거래를 처리합니다. 이는 자산을 교환하고 유동성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들은 AMM을 통해 토큰을 교환하고 수수료를 벌어들일 수 있습니다.
Cosmos 생태계와의 통합
오스모시스는 Cosmos 생태계의 토큰들과 연동되어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Cosmos 블록체인 간에 토큰을 이동하고 거래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유동성 제공 및 수수료 모델
사용자들은 오스모시스에서 토큰을 제공함으로써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거래 수수료를 벌어들일 수 있습니다. 이는 플랫폼의 거래 활동에 기여하고 사용자들에게 incentive를 제공합니다.
자체 토큰 (OSMO)
오스모시스 플랫폼 내에서 사용되는 OSMO 토큰은 거래 수수료를 지불하거나 스테이킹을 통해 네트워크 보안에 기여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다양한 기능과 확장성
오스모시스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플랫폼이 확장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오스모시스는 Cosmos 생태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오스모시스(OSMO) 토큰의 용도
거래 수수료 지불
오스모시스에서 거래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는 OSMO 토큰으로 지불됩니다. 사용자들은 플랫폼 내에서 자산을 교환하고 거래를 할 때 OSMO 토큰을 사용하여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유동성 제공 및 스테이킹 보상
사용자들은 OSMO를 오스모시스 플랫폼에 제공하여 유동성을 제공하고 이로부터 수수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OSMO를 스테이킹하여 네트워크 보안에 기여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거버넌스 투표 및 의사 결정
오스모시스 플랫폼의 거버넌스 프로세스에 참여하기 위해 OSMO 토큰을 보유한 사용자들은 네트워크 개선 제안에 투표하거나 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 개발 및 생태계 지원
OSMO 토큰은 오스모시스 플랫폼의 발전과 생태계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발전, 개선, 그리고 사용자 및 개발자들에 대한 지원 등을 포함합니다.
오스모시스(OSMO) 실시간 시세
'재테크 > 가상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플레어(FLR),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5분만에 알아보자 (5) | 2023.11.19 |
---|---|
[가상자산] 일루비움(ILV),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5분만에 알아보자 (37) | 2023.11.19 |
[가상자산] 빔(BEAM),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5분만에 알아보자 (4) | 2023.11.18 |
[가상자산] 페치에이아이(FET),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5분만에 알아보자 (4) | 2023.11.18 |
[가상자산] 대시(DASH),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5분만에 알아보자 (5) | 2023.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