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신뢰 기반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차세대 멀티체인 플랫폼, 온톨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온톨로지(ONT)란?
온톨로지(Ontology)는 신뢰 기반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차세대 멀티체인 퍼블릭 플랫폼입니다. 리준(Li Jun)이 중국의 이더리움이라고 불리는 네오(NEO) 창시자인 다홍페이와 공동 창업한 온체인(Onchain) 회사에서 개발했습니다. 온톨로지의 토큰은 2종류로, 온톨로지(ONT) 토큰과 온톨로지가스(ONG) 토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온톨로지(ONT) 토큰은 네트워크의 의사결정을 위해서 사용하고, 온톨로지가스(ONG) 토큰은 스마트 계약 실행을 매개하는 역할을 합니다.
온톨로지의 모회사인 온체인은 기업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개발에 참여해 왔고,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험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온체인은 큰 범위의 시스템에서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최근 퍼블릭 블록체인은 특정 시나리오를 서비스할 수 없는 성능 문제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성능과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 모두에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퍼블릭 블록체인에 대한 요구로 온톨로지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온톨로지는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인 네오를 기반으로 하는 분산 신뢰 협력 플랫폼입니다. 신뢰가 필요한 광범위하고 다양한 산업 부문에서 사용하도록 디지털 신원 프레임워크와 데이터 거래 프로토콜 등을 제공합니다. 또,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 공급업체가 복잡한 시스템과 기술 없이 분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온톨로지의 분산 인프라는 신뢰 서비스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 여러 앱 서비스에 연결되고, 탈중앙 인증기관을 통합하며, 분산 디지털 시스템을 사람·자산·사물·사건 등 실제 경제의 모든 측면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산화된 신뢰 협력 시스템을 위하여 인프라, 모듈과 프로토콜, 공통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보험, 헬스케어, 금융, 정부 기관 및 공공복지, 저작권, 광고 등과 같은 사업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온톨로지는 ICO가 아닌 프리세일을 통해 사람들에게 토큰을 분배하였습니다. 2018년 3월 초, 네오(NEO) 토큰을 보유한 사람들에게 NEO : ONT = 1 : 0.2 비율로 에어드롭을 진행하여 절반은 즉시 지급하고, 절반은 메인넷 출시 이후 7월에 지급하였습니다. 한편, 온톨로지가스(ONG) 토큰은 네오의 가스처럼 스마트 경제 시스템의 유틸리티 토큰의 역할을 합니다. 10,000 ONT를 보유 시 하루 약 4.32 ONG를 이자처럼 보상받습니다. 온톨로지가스(ONG) 토큰은 18년 간 신규 블록이 생길 때마다 ONG 토큰을 발행해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할 예정입니다.
온톨로지(ONT)의 작동원리
블록체인 트랜잭션
온톨로지 블록체인은 분산 노드로 구성된 피어 투 피어(P2P)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며, 모든 트랜잭션은 블록에 기록됩니다. 이 블록은 분산된 여러 노드에 복제되어 중앙 집중식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합니다.
디지털 자산 및 스마트 계약
온톨로지 블록체인은 디지털 자산을 표현하고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스마트 계약은 온톨로지의 온톨로지 가스(ONG) 토큰을 사용하여 실행됩니다.
신원 인증 및 ID 관리
온톨로지는 신원 인증과 디지털 ID 관리를 위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자신의 신원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스마트 계약 및 DApp에 공유할 수 있습니다.
다중 체인 및 사이드 체인
온톨로지는 다중 체인 및 사이드 체인을 지원하여 확장성과 성능을 향상합니다. 메인 체인 위에 여러 사이드 체인이 존재하며, 각 사이드 체인은 특정한 용도나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온톨로지 네트워크 관리
온톨로지 네트워크는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블록체인의 보안과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네트워크 참여자는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블록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토큰 경제학
온톨로지 블록체인은 토큰 경제학을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경제 주체 간에 가치 교환을 지원합니다. 사용자는 토큰을 보유하고 스마트 계약을 통해 토큰을 교환하거나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온톨로지는 블록체인에서 데이터 보안과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의 데이터는 암호화되고 블록체인 상에서 안전하게 저장됩니다.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 개발
온톨로지 블록체인은 개발자들이 분산형 애플리케이션(DApp)을 구축하고 배포하는 데 필요한 도구와 환경을 제공합니다. 스마트 계약과 온톨로지 블록체인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의 DApp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온톨로지(ONT)의 특징
다중 체인 아키텍처
온톨로지는 메인 체인과 여러 사이드 체인을 결합한 다중 체인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확장성을 향상합니다. 이는 블록체인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트랜잭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돕습니다.
토큰 표준 및 토큰화
온톨로지 블록체인은 토큰화된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토큰 표준을 제공하며, 토큰 발행, 전송, 소유권 이전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이는 디지털 자산의 교환과 관리를 간소화합니다.
스마트 계약 및 스마트 계약 템플릿
온톨로지는 스마트 계약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스마트 계약 템플릿을 사용하여 보다 쉽게 스마트 계약을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분산 신뢰 관리
온톨로지는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신뢰를 구축하고 유지합니다. 이는 중앙 집중식 시스템이 아닌 분산된 신뢰를 기반으로 블록체인을 운영합니다.
분산화된 데이터 관리 및 액세스 제어
온톨로지는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데이터 보안과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합니다.
다양한 업무 영역에 대한 적용 가능성
온톨로지 블록체인은 금융, 보안, 공급망 관리, 헬스케어, 신원 관리, IoT(Internet of Things)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업무 특화된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스케일러빌리티
온톨로지는 다양한 형태의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고 네트워크의 성장에 대응하여 높은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ONT, ONG 토큰의 용도
ONT토큰
메인넷 론칭 이전 온톨로지 플랫폼은 ONT 토큰만 존재했습니다. ONT토큰은 네오 블록체인에서 쓰이는 암호화폐로 에어드롭을 통해 기존 네오 토큰을 보유한 이들에게 지급되었습니다. 네오 한 토큰 당 0.2 온톨로지 비율로 진행했지만, 이때 절반인 0.1에 해당하는 양만 지급됐으며, 메인넷이 출시된 후 나머지 절반을 지급하였습니다. 온톨로지는 ICO를 진행하지 않았지만 네오 플랫폼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목표를 가지며 좋은 평을 받아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ONT토큰의 최대 발행량은 10억 개이며, 현재 약 1억 8천만 개 정도가 유통되고 있습니다.
ONG토큰
메인넷이 론칭되고 ONT토큰이 NEP-5 토큰 형태에서 독자적인 온톨로지 토큰으로 바뀌면서 ONG토큰도 발행되기 시작했습니다. ONG토큰은 네오의 GAS와 역할이 유사합니다. 즉, ONT토큰은 블록체인에 대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ONG토큰은 블록체인을 사용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을 부담하는 데 사용됩니다. 온톨로지 플랫폼에서 ONT토큰 보유자들에게 일정 기간마다 ONT 양에 비례하여 ONG토큰이 지급되는 구조입니다.
온톨로지(ONT) 실시간 시세
Ontology (ONT) 가격, 차트, 시가총액 | 코인마켓캡
The live Ontology price today is ₩219.85 KRW with a 24-hour trading volume of ₩9,074,382,178.82 KRW. We update our ONT to KRW price in real-time.
coinmarketcap.com
'재테크 > 가상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아이오텍스(IOTX)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3) | 2023.09.19 |
---|---|
[가상자산] 하이브(HIVE)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29) | 2023.09.18 |
[가상자산] 스토리지(STORJ)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32) | 2023.09.17 |
[가상자산] 제로엑스(ZRX)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27) | 2023.09.17 |
[가상자산] 시아코인(SC)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5) | 202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