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여행, 여가, 라이프스타일 분야 서비스의 포인트를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통합하기 위한 암호화폐, 밀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밀크(MLK)란?
밀크 플랫폼은 서로 다른 서비스의 포인트들을 연결 가능하도록 도와줍니다. 밀크 플랫폼 이용자는 밀크 얼라이언스에 참여한 서비스들의 포인트를 한곳에서 볼 수 있으며 기존 포인트를 밀크 토큰으로 전환하여 다른 서비스의 포인트로 변환 가능합니다. 서비스 기업은 밀크 얼라이언스에 참여하여 밀크 API를 활용한 마일리지 포인트 시스템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포인트 교환을 통하여 다른 서비스의 고객층을 확보 및 유입이 가능하며 밀크 플랫폼을 사용한 마케팅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밀크는 블록체인을 통해 마일리지 포인트를 쉽게 토큰화시켜 주며 사용자가 토큰을 안전하게 거래하고 신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밀크 자체 플랫폼 토큰인 밀크 코인이 포인트 교환의 매개체가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종류의 포인트로 교환이 가능합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거래소를 통한 현금화도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니즈에 맞춰 포인트를 다양하게 활용하게 됩니다. 밀크 얼라이언스에 합류하게 된 서비스는 밀크의 API를 사용하여 기존 포인트 시스템 도입보다 시간과 돈을 절약 가능하며 구축 및 통합이 쉽습니다. 회사마다 개별적인 체인이 존재하여 불필요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블록체인을 사용한 투명한 감사로 인해 서비스의 신뢰가 보장됩니다. 더 나아가 한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인프라 구축이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전 세계의 모든 라이프 스타일 마일리지 포인트 통합을 이루고자 하는 밀크의 궁극적인 가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됩니다.
밀크(MLK)의 특징
티카
티카(TICA)는 토큰 인터체인지 에이전시(token inter-change agency)의 약자로, 해석하면 ‘토큰 교환 기관’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실제로 티카는 토큰 교환 기관이라는 명칭처럼 사용자들이 밀크 플랫폼에서 포인트를 원활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밀크 플랫폼은 사용자가 포인트를 밀크코인으로 교환하거나, 밀크코인을 포인트로 교환하는 거래소입니다. 이때 사용자 간에 직접 교환이 아닌 티카가 교환 중개자가 되며, 티카는 플랫폼에서 사용자의 포인트 혹은 코인을 사거나 파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사용자들이 직접적으로 포인트 교환을 하게 만드는 것이 아닌 티카를 사용하여 중개를 통해 포인트를 교환하게 만든 이유는 바로 유동성 문제 때문입니다. 라이프 스타일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시간대와 시즌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비스와 포인트 시장이 24시간 동안 활발하게 돌아가지 않는 이상 사용자가 포인트를 사거나 팔고 싶을 때 바로바로 교환 상대를 매칭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밀크는 사용자들이 언제나 자신이 원할 때 포인트를 사고팔 수 있도록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는 티카를 플랫폼에 도입하였습니다.
작동원리
밀크 플랫폼에서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는 티카는 언제든지 사용자들에게 포인트와 밀크코인을 교환해 줄 수 있게끔 포인트와 밀크코인을 비축하고 있습니다. 밀크코인 총물량의 약 28%를 플랫폼 거래 유동성을 위해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의 코인 수요와 공급과는 상관없이 플랫폼의 규모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됩니다.
사용자가 포인트를 밀크코인으로 교환할 때
자신이 모은 포인트를 밀크코인으로 교환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플랫폼을 통해 교환을 진행하면 티카는 사용자의 포인트를 받고 보유하고 있는 밀크코인을 시장 가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내주게 됩니다. 예를 들어 Y사의 2000포인트를 교환하고자 했을 때, Y포인트의 가격이 1원이고 밀크코인의 가격이 한 개 당 200원이면 티카는 사용자로부터 2000포인트를 받고 이와 상응하는 가치를 지닌 약 10 MLK를 지급하게 됩니다. 이때 10 MLK가 아닌 ‘약’ 10 MLK인 이유는 밀크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모든 포인트 교환 시 1.5%의 수수료가 발생하며 이는 밀크 플랫폼 운영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사용자가 밀크코인을 포인트로 교환할 때
반대로 서비스 사용을 위해 포인트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플랫폼에서 교환을 진행함으로써 티카는 사용자가 보낸 밀크코인을 다시 유동성 풀에 비축하고 보유하고 있던 포인트를 사용자에게 지급합니다. 예를 들어 밀크코인의 시장 가격이 400원이고 M 포인트 한 개당 가격이 2원일 경우 사용자가 4000M 포인트를 4000M 포인트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약 20 MLK를 지급하게 됩니다. 티카는 사용자에게 받은 20 MLK를 다시 유동성 풀에 저장하고 보유하고 있던 4000M 포인트를 사용자에게 지급하게 됩니다. 즉, 정리하자면 밀크는 포인트를 사고팔 수 있는 포인트 마켓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포인트를 사고팔 대상을 찾을 필요 없이 모든 포인트 거래를 중개해 주는 플랫폼입니다. 이로써 언제든지 밀크 플랫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할 때 포인트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밀크(MLK) 토큰 이코노미
밀크 플랫폼에 참여한 서비스 기업은 기존의 포인트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여 포인트를 발행하고 포인트 교환을 위한 거래 시스템을 만들고자 합니다. 밀크는 기존의 포인트와 같은 밀크포인트와 통합 매개체로서의 코인인 밀크 코인이 존재합니다. 밀크는 기존 포인트 시스템과 외향적으로 다를 것이 없지만, 포인트 적립 및 사용에 대한 검증은 블록체인에 기록되며 발행 및 순환되는 포인트가 모두 투명하게 관리 및 제어됩니다. 또한 외부에 의해 쉽게 변경되거나 유출되지 않는다는 블록체인의 장점으로 인해, 제삼자에 의한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자산이자 기업의 부채인 포인트를 안전하게 보관 및 관리가 가능해집니다. 마지막으로 밀크 플랫폼에 참여한 기업들은 밀크 API를 사용하여 기존 포인트 시스템 구축보다 시간 및 비용적인 측면을 크게 절약하여 블록체인 포인트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게 됩니다.
밀크 포인트
밀크포인트는 밀크 얼라이언스에 참여한 서비스 기업들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밀크 제휴사에 의해 적립되어 밀크플랫폼과 연동 후 거래 가능한 모든 포인트를 말합니다. 밀크포인트는 기존의 포인트와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며 차이점으로는 밀크포인트가 발행되면 오프체인 관리 및 트랜잭션 기록이 모두 체인 상에 기록된다는 점입니다. 이렇게 모든 거래 기록이 체인 상에 기록되면 모든 발행 및 순환되는 포인트가 서비스 회사에 의해 투명하게 관리 및 제어됩니다. 또한 고객들은 밀크포인트를 사용할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고객이 사용하려는 포인트에 대한 동일한 금액을 보장합니다.
예를 들어, 1000 밀크포인트를 보유하여 사용할 경우, 해당 서비스는 1000원의 가치를 보장합니다. 사용자 측면에서 보았을 때, 불편한 블록체인 사용자 경험과는 달리 밀크포인트 사용 시 기존의 마일리지 포인트 사용 방법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때문에 사용자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거래를 하고 있음을 신경 쓸 필요가 없게 되고 사용자들은 자연스레 블록체인 기술 사용에 대한 진입장벽은 사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점에서 밀크 포인트는 기존의 포인트와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밀크 플랫폼에서 거래가 될 수 있는 포인트라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습니다.
밀크 코인
밀크 코인은 플랫폼에서 통화의 역할을 수행하며 제휴된 서비스 회사의 밀크포인트 통합 및 거래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암호화폐입니다. 플랫폼 상에서 밀크포인트는 하나의 제품으로 볼 수 있으며, 밀크 코인은 그 제품들을 구매하기 위한 통화로서 사용됩니다. 밀크 코인을 획득하기 위한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① 사용자가 획득한 밀크포인트를 판매하여 획득
②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구입
③ 사용자 간에 개별적인 전송
밀크(MLK) 실시간 시세
'재테크 > 가상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뉴메레르(NMR)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3) | 2023.09.28 |
---|---|
[가상자산] 문빔(GLMR)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4) | 2023.09.27 |
[가상자산] 폴리매쉬(POLYX)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40) | 2023.09.26 |
[가상자산] 플레이댑(PLA)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6) | 2023.09.25 |
[가상자산]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43) | 2023.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