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이더리움 기반의 디앱 등을 폴카닷 생태계에 배포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 문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빔(GLMR)이란?
문빔(Moonbeam)은 폴카닷(Polkadot) 생태계의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으로 폴카닷 파라체인1 경매의 2번째 슬롯을 할당받아 등장하였습니다. 폴카닷 파라체인 경매 이전, 문빔은 폴카닷의 카나리(Canary) 네트워크 2인 쿠사마(Kusama)의 파라체인에 문리버(Moonriver)라는 이름으로 시범운영되었습니다.
문빔은 EVM 호환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으로, 디앱(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 개발자들이 이더리움 기반 디앱들을 포함한 여러 프로토콜들을 확장성 문제없이 폴카닷 생태계에 배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문빔(GLMR)의 작동원리
Ethereum 호환성
Moonbeam은 EVM과 호환되는 것이 중요한 특징입니다. 이는 Solidity 같은 이더리움에서 사용되는 스마트 계약 언어로 작성된 스마트 계약이 Moonbeam에서 실행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Interoperability with Polkadot
Moonbeam은 Polkadot의 Relay Chain에 연결되어 다른 블록체인과 상호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Moonbeam은 Polkadot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블록체인과 통신하고 상호 운용할 수 있습니다.
Bridge to Ethereum
Moonbeam은 Ethereum과의 상호 운용성을 강조하기 위해 Ethereum 네트워크와의 브리지를 통해 이더리움과 상호 연동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이더리움 기반의 자산 및 데이터를 Moonbeam으로 이전할 수 있습니다.
초점
Moonbeam은 DeFi 및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강조합니다. DeFi 프로젝트들은 Moonbeam을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과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중계체인 역할
Moonbeam은 중계체인 역할을 하며, 이더리움과 Polkadot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및 자산을 전달하고 상호 운용성을 촉진합니다.
문빔(GLMR)의 특징
EVM 호환이 가능한 파라체인
폴카닷은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 5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이기에 대부분의 폴카닷 생태계 파라체인들은 러스트(Rust)를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로 사용합니다. 이와 달리 문빔 네트워크에서의 프로그래밍에는 솔리디티, 바이퍼 등 EVM6 호환 바이트코드(Bytecode)로 컴파일될 수 있는 언어들 또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빔은 문빔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이더리움에서의 스마트 컨트랙트와 최대한 유사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에 따라 문빔 생태계 내 개발자들은 기존에 존재하는 솔리디티 스마트 컨트랙트, 이더리움 기반 지갑 등 이더리움 기반 툴들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기반 툴과 디앱을 서브스트레이트로 구축된 문빔 블록체인 위에 배포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은 프런티어(frontier)라고 불리는 서브스트레이트의 이더리움 호환 레이어입니다. 프런티어의 목적은 표준 이더리움 디앱들이 수정 없이 서브스트레이트 기반 블록체인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인데, EVM 시행, 블록 데이터 저장, RPC 호환, 트랜잭션 수수료 메커니즘 등을 처리하는 여러 종류의 팔레트(Pallet)를 서브스트레이트 런타임(Runtime)에 플러그인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문빔 내 노드들은 디앱이나 이더리움 개발 툴(예시 : Truffle)로부터 온 RPC Call을 받습니다. 해당 노드들은 이더리움과 서브스트레이트 툴과 모두 상호작용할 수 있는 Web3 RPC를 사용합니다. RPC Call들은 서명을 체크하고 외부 변화를 처리하는 서브스트레이트 런타임 함수를 통해 처리됩니다. 이후 RPC Call은 EVM을 통해 시행되어 블록체인의 상태를 바꾸고 네트워크에 정착됩니다. 문빔은 문빔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이더리움과 최대한 유사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 때문에 문빔 생태계 내 개발자들은 기존에 존재하는 이더리움 툴들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빔 커뮤니티 트레저리
문빔은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트랜잭션 수수료 중 20%를 커뮤니티 트레저리(Treasury)로 배분합니다. 문빔 홀더들이 트레저리의 사용 관련 안건을 제시하면 트레저리 카운슬이 이를 검토하고, 동의하게 되면 해당 안건에 맞게 트레저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트레저리 안건 통과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문빔 트레저리 논의 포럼에 아이디어 및 제안을 게시하고 커뮤니티 피드백을 받습니다. 커뮤니티 반응이 긍정적이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② 이후 Polkadot.js App 내 트레저리 안건을 상정합니다. 이때, 안건을 제시한 주체는 요청하는 자금의 5%에 해당하는 GLMR 토큰을 예치해야 합니다.
③ 트레저리 카운슬이 안건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투표를 진행합니다. 투표가 통과되면 안건으로 요청된 GLMR 토큰이 제안자에게 전달됩니다. 이와 동시에 예치된 토큰도 제안자에게 다시 돌아간다. 만약 안건이 통과되지 못한 경우, 예치한 토큰은 돌려받지 못합니다.
문빔(GLMR) 토큰의 용도
콜레이터 스테이킹 및 보상
폴카닷 파라체인 네트워크의 특성상 문빔 네트워크는 검증인 대신 콜레이터 노드에 의해 운영됩니다. 콜레이터 노드를 운영하기 위한 최소 스테이킹 수량 조건은 2,000,000 GLMR입니다. 콜레이터는 노드 운영에 대한 대가로 블록 보상의 일부를 수령합니다.
트랜잭션 수수료 및 자산 구매
문빔의 모든 온체인 트랜잭션은 수수료를 필요로 합니다. 수수료로 지불된 GLMR 토큰의 일부는 소각되고, 나머지는 커뮤니티 트레저리로 전송됩니다. 이외에도 GLMR 토큰은 문빔 내 여러 자산들을 구매하는 용도로도 사용됩니다.
거버넌스
GLMR 토큰 보유자는 문빔에 대한 새로운 안건을 상정하거나 투표에 참여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거버넌스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문빔(GLMR) 실시간 시세
'재테크 > 가상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디카르고(DKA)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4) | 2023.10.01 |
---|---|
[가상자산] 뉴메레르(NMR)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3) | 2023.09.28 |
[가상자산] 밀크(MLK)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3) | 2023.09.27 |
[가상자산] 폴리매쉬(POLYX)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40) | 2023.09.26 |
[가상자산] 플레이댑(PLA) 쉽고 빠르게 알아보기 (6) | 2023.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