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바이낸스 스마트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된 탈중앙화 거래소(DEX), 팬케이크스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팬케이크스왑(CAKE)이란?
팬케이크스왑은 바이낸스 스마트체인 기반의 DEX 거래소 및 자동화 마켓 메이커(AMM)입니다. 자동화 마켓 메이커(AMM)란 유저에게 유동성을 제공하고 알고리즘을 이용해 마켓을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팬케이크스왑은 유니스왑을 포크 하며 만들어졌습니다.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기반이기 때문에 이더리움 거래 시 일반 네트워크 수수료보다 저렴한 금액을 지원합니다.
팬케이크스왑은 출시 후 NFT, 복권, 자체 토큰 세일을 진행하며 다른 DEX 거래소와 차별성을 둔 운영을 펼쳤습니다. 이외에도 팬케이크스왑을 스테이킹하면 이자를 지급하는 서비스 또한 제공하고 있으며 유동성풀이나 IFO 등에 참여해 보상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중앙화 거래소의 이용자가 결국에는 탈중앙화 거래소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많은 탈중앙화 거래소라면 해당 거래소에서 사용하는 토큰의 가치 또한 점점 높아질 것입니다.
팬케이크스왑(CAKE)의 작동원리
팬케이크스왑(CAKE)의 작동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팬케이크스왑(CAKE)은 자동화 마켓 메이커(AMM, Automated Market Maker) 모델을 사용합니다. 이 모델은 유동성 공급자가 필요 없는 자동화된 시장을 만들어냅니다. 즉, 유저들은 거래를 할 때, 자신이 소유한 토큰을 프로토콜에 스테이킹하여 유동성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수수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탈중앙화 금융(DeFi)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파밍 또는 수수료를 통해 유동성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토큰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합니다.
팬케이크스왑(CAKE)의 AMM 모델은 거래 대금의 비율을 계산하여 풀(Pool)에 저장합니다. 이때, 거래 대금의 비율을 계산하는 공식은 일반적으로 컨트랙트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거래 시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이렇게 계산된 비율은 다른 유저들이 거래를 할 때 참고되어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팬케이크스왑(CAKE)에서는 거래 수수료를 지불할 때 팬케이크스왑 토큰(CAKE)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유저들은 자신이 스테이킹한 토큰으로부터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프로토콜을 개선하고 운영하는 데 사용됩니다.
팬케이크스왑(CAKE)의 특징
Binance Smart Chain (BSC) 기반
PancakeSwap은 Binance Smart Chain (BSC) 네트워크 위에서 작동하며, 이로 인해 빠른 거래 처리 속도와 상대적으로 낮은 거래 수수료를 제공합니다. 이는 Ethereum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고비용과 속도 문제를 완화합니다.
AMM 모델
PancakeSwap는 자동 시장 제조자(AMM) 모델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암호화폐 자산을 교환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모델은 Uniswap과 유사한데, 사용자는 자산을 유동성 제공을 통해 스왑 할 수 있으며, 스왑 가격은 스마트 계약에 의해 결정됩니다.
유동성 제공
사용자는 PancakeSwap의 유동성 제공 풀에 암호화폐 자산을 제공하여 교환 거래 수수료 및 스테이킹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동성 제공은 LP 토큰(유동성 제공 토큰)을 생성합니다.
스테이킹
PancakeSwap은 사용자가 LP 토큰을 스테이크 하고 추가 보상을 얻을 수 있는 스테이킹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산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
수레(Kingdoms)
PancakeSwap의 수레는 LP 토큰을 스테이크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것은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채굴
PancakeSwap은 사용자가 플랫폼을 사용하면서 PAN 토큰을 채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다양한 암호화폐 지원
PancakeSwap은 다양한 암호화폐 페어와 다양한 토큰을 지원하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자산 간에 교환을 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주도
PancakeSwap은 개발자 및 사용자 커뮤니티가 활발하게 참여하고 프로젝트의 개선과 발전을 주도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팬케이크스왑(CAKE) 토큰의 용도
NFT 마켓플레이스
팬케이크스왑(CAKE) NFT 마켓플레이스에서는 다양한 NFT를 거래할 수 있습니다. 팬케이크스왑 NFT 구입 시 BNB를 사용해야 하지만, 구입한 NFT를 다시 판매하거나 새로운 NFT를 민팅하기 위해서는 먼저 팬케이크스왑에 프로필을 만들어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프로필
팬케이크스왑(CAKE) 프로필을 만들기 위해서는 팬케이크 코인(CAKE)이 필요합니다. 연결된 지갑에 충분한 양의 큰을 보유 중이라면 즉시 팬케이크스왑 프로필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현재 프로필 생성에는 1개의 팬케이크스왑 토큰이 필요하고, 사용된 팬케이크스왑 토큰은 소각됩니다.
팬케이크스왑 민팅
팬케이크스왑(CAKE) 민팅을 통해 NFT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팬케이크스왑 민팅으로 만들어진 NFT는 팬케이크스왑 NFT 마켓에서 판매가 가능합니다.
팜(Farm) & 스테이킹
팬케이크스왑(CAKE) 팜(Farm)이란 팬케이크스왑 스테이킹 전 진행하는 절차입니다. 팬케이크스왑 팜이란 유동성풀에 BNB나 팬케이크스왑 토큰, 또는 다른 가상화폐를 제공하고 이자를 얻는 것입니다. 팬케이크스왑 팜으로 유동성을 제공한 사용자에게는 보상으로 LP 토큰을 수여합니다. 팬케이크스왑(CAKE) 사용자는 이 LP 토큰을 팬케이크스왑 스테이킹에 사용합니다. 스테이킹 외에도 팬케이크스왑 팜으로 받은 LP 토큰의 사용처는 다양합니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토큰을 스테이킹하여, 즉 유동성 제공자 토큰을 예치하고 락업 하여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파밍(farming)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스템이 CAKE 토큰으로 보상합니다. 토큰은 보유 시간 없이 바로 언스테이킹될 수 있습니다.
IFO(Initial Farm Offering)
팬케이크스왑 IFO란 탈중앙화 펀딩입니다. 바이낸스가 검증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토큰을 사전 판매하는 형태의 펀딩이 바로 팬케이크스왑 IFO입니다. 팬케이크스왑 사용자는 유동성풀에 예치한 자금을 이용해 팬케이크스왑 IFO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복권
팬케이크스왑(CAKE) 복권은 하루에 두 번 추첨이 이루어집니다. 추첨을 통해 뽑힌 숫자와 팬케이크스왑 복권 티켓에 있는 숫자가 일치하면 복권 판매로 조성된 자금 일부를 상금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접근성이 좋고 인지도도 높았기 때문에 한때 팬케이크스왑 복권의 상금 규모는 110만 달러를 넘기도 했습니다. 팬케이크스왑은 복권 당첨 선정의 공정성을 체인링크 VRF 기능을 사용해 증명하고 있습니다.
각 복권 세션은 6시간이 소요됩니다. 티켓 한 장의 가격은 10 팬케이크 코인(CAKE)이며, 1부터 14 중에서 4개의 숫자가 무작위(예: 8-6-4-13)로 제공됩니다. 총 복권 풀의 50%에 달하는 당첨금을 얻으려면 자신의 티켓에 있는 4개의 번호가 당첨번호 4개와 일치해야 합니다.
팬케이크스왑(CAKE) 실시간 시세
'재테크 > 가상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바이낸스코인(BNB),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자 (6) | 2023.11.09 |
---|---|
[가상자산] 라이트코인(LTC),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자 (35) | 2023.11.08 |
[가상자산] 쿠코인셰어(KCS),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자 (4) | 2023.11.07 |
[가상자산] 디와이디엑스(DYDX),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자 (37) | 2023.11.06 |
[가상자산] 오아시스 네트워크(ROSE),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자 (5)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