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작고 가벼운 암호화폐, 라이트코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라이트코인(LTC)이란?
라이트코인이란 비트코인에서 파생된 가상화폐입니다. 2011년 비트코인 하드포크로 라이트코인이 탄생했습니다. 참고로 하드포크란 오픈 소스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나뉘어서 고유한 프로젝트가 새롭게 생겨나는 프로세스입니다. 하드포크 이후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라이트코인은 가상화폐 투자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가상화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구글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였던 찰리 리(Charlie Lee)가 비트코인의 코드베이스에서 몇 가지 수정을 거쳐 배포한 오픈 소스 블록체인 프로젝트입니다. 비트코인의 1/4인 2분 30초의 블록 타임을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대 발행량이 비트코인의 4배인 84,000,000 LTC입니다.
비트코인에 비해 가볍고 빠른 것이 특징이며, 비트코인은 상징적 의미와 자산 헷지용도의 성향이 짙다면 라이트코인은 실제 결제를 위해 탄생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라이트코인(LTC)의 작동원리
비트코인의 수정 버전으로서, 라이트코인은 비트코인 네트워크보다 더 저렴하고 효율적인 거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라이트코인은 작업증명 메커니즘을 채택하여 광부들이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추가함으로써 새로운 코인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하지만 라이트코인은 비트코인의 SHA-256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라이트코인(LTC)은 대략 2.5분마다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해시 알고리즘인 스크립트(Scrypt)를 사용하는 반면 비트코인 블록 확인 시간은 평균 10분이 소요됩니다.
스크립트(Scrypt)는 최초 라이트코인 개발팀이 비트코인 시스템에서 벗어나 자체 분산형 채굴 생태계를 키우고 LTC에 대한 51% 공격을 더욱 어렵게 만들기 위해 개발했습니다. 초기에 Scrypt는 기존 GPU 및 CPU 카드를 사용하던 사람들에게 보다 쉽게 마이닝할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 목표는 ASIC 채굴자들이 LTC 광산을 지배하는 것을 막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ASIC 마이너는 나중에 LTC를 효율적으로 채굴하기 위해 개발되어 GPU와 CPU 채굴이 쓸모없게 되었습니다.
비트코인과 라이트코인이 비슷해 개발자들이 비트코인에 적용한 블록체인 기술을 시험하는 ‘시험장’으로 자주 활용됩니다.
라이트코인 ‘밈블윔블’ 기능
LTC가 지난해 5월 20일 밈블윔블(MWEB) 네트워크 업데이트를 통해 ‘비밀 전송'(Confidential Transaction) 기능이 추가했습니다. 이 기능에는 이용자가 지갑에 보유한 LTC 수량이나 전송하고자 하는 LTC 수량을 공개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이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수량이나 전송 규모를 공개하지 않고도 외부 지갑과 LTC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라이트코인(LTC)이 다크코인(프라이버시 코인, 익명화 처리가 된 코인)으로 여겨질 가능성이 큽니다. 밈블윔블이란 소설 해리포터에 등장한 비밀을 말하지 못하도록 혀를 꼬는 주문입니다. 네트워크 기밀 거래를 보장하는 ‘익명 전송’ 기능을 의미합니다. 즉, 밈블윔블은 트랜잭션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거래가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핵심으로 합니다.
라이트코인(LTC)의 특징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는 거래할 때마다 서로의 거래 내용을 블록체인에 올려야 거래가 마무리됩니다. 그런데 비트코인의 거래량이 늘어나다 보니 거래 속도가 크게 떨어졌습니다. 다중 장부로 블록체인 특성상 저장해야 할 거래 내용이 많아지다 보니 처리 속도가 느려진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거래 수수료도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입니다.
라이트코인은 이 문제들을 해결하며 등장했습니다. 바로 라이트닝 네트워크(lightning network) 솔루션을 도입했는데, 라이트닝 네트워크 거래는 오프체인(off-chain) 거래라 불리며, 이는 모든 거래 내용을 오프체인에 등록한 뒤 모든 거래 내역을 종합해 최종 결과만 온체인(on-chain)에 업로드하는 방식입니다.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승인 대기 시간이 생략되며 거래가 즉시 완료됩니다. 또 오프체인 거래를 함으로써 채굴자에게 수수료를 주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거래 수수료는 제로에 가깝게 낮아집니다.
이러한 라이트닝 네트워크에서는 다중 키(multi-signature)와 시간 잠금 계약(hashed timelock contract)을 활용해 신뢰를 확보합니다. 가령 A와 B라는 두 사람이 공동 계좌를 만들고 다중 키로 설정합니다. 블록체인에서 이 장부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두 사람 모두의 비밀 키가 필요합니다. 오프체인에서는 둘의 합의만으로 갱신해 나가다가 장부를 청산할 때 다중 키를 이용해 온체인합니다. 둘 사이에 합의된 거래는 시간 잠금 계약을 걸기 때문에 한 사람이 합의를 뒤집고 자신에게 유리한 상태로 장부를 온체인할 수 없는 구조입니다.
비트코인과의 차이점
발행량
비트코인의 총량은 2,100만 개로 정해져 있다. 하지만 라이트코인은 8,400만 개를 발행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 있어 비트코인보다 4배 더 많습니다. 이는 가상자산 수 부족으로 가격이 폭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채굴 방식
비트코인은 새로 생성된 블록에 대해 목푯값 이하의 해시를 찾아야 채굴에 성공하는데, 비트코인의 해시 알고리즘인 SHA-256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채굴량이 많아지면서 채굴 난이도가 높아지자 전문 ASIC 채굴기까지 개발되는 등 고성능 컴퓨터를 필요로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라이트코인은 ASIC 채굴 방식에 저항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인 스크립트(Scrypt) 알고리즘을 사용해 상대적으로 블록 생성이 복잡하지 않고, 비트코인에 비해 채굴이 간편해서 PC용 GPU로도 채굴이 가능합니다.
블록 생성 속도
10분마다 블록을 만들어냈던 비트코인과 달리 라이트인은 2.5분마다 블록을 생성했습니다. 이는 라이트코인이 비트코인보다 거래소 속도가 약 4 배 빠른 것으로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라이트코인 블록체인은 비트코인보다 더 많은 거래량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블록 생성 빈도가 높기 때문에 네트워크는 향후에도 소프트웨어를 수정할 필요 없이 더 많은 거래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라이트코인의 짧은 ‘블록타임’ 덕분에 라이트코인은 채굴하기 편한 코인으로 부각되어 사람들의 애정을 받게 되었습니다.
채굴 보상
비트코인은 채굴 보상의 반감기가 있어서 2012년 이전, 즉 최초 비트코인 생성 후 4년간 보상은 50 BTC였습니다. 그 후 25 BTC로 떨어졌다가 2017년 이후 12.5 BTC로 떨어진 상태입니다. 라이트코인 역시 채굴에 성공할 경우, 현재 블록당 25 LTC을 보상받고 있는데, 이 채굴량 역시 4년마다 대략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초당 거래수
비트코인의 트랜잭션 속도는 초당 평균 7회 정도 이루어지지만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이런 비트코인의 트랜잭션 속도를 초당 수십억 건의 거래로 비약적으로 빠르게 증가시킨다. 이 때문에 즉각적인 대량의 소액 결제가 가능합니다.
개인정보 보호 (밈블윔블)
라이트코인을 얘기할 때 빠질 수 없는 키워드, 바로 ‘MWEB’입니다. 풀네임은 ‘Mimblewimble Extension Block’으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밈블윔블 확장 블록’ 정도가 됩니다. MWEB는 익명성을 강조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로, 개인 프라이버시 기능이 강화된 라이트 코인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라이트코인(LTC)의 용도
디지털 화폐로의 사용
라이트코인은 디지털 화폐로 사용됩니다. 이것은 사람들이 제품 및 서비스를 구입하거나 다른 개인 간에 가치를 교환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투자
라이트코인은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암호화폐로 간주되어 투자자들이 투자 대상으로 고려하기도 합니다. 가격 변동이 크기 때문에 가치 투자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송 및 송금
라이트코인은 전 세계 어디서나 빠르고 비교적 낮은 수수료로 자금을 송금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국제 송금 및 빠른 거래 처리를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습니다.
결제 처리
일부 기업은 라이트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허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들이 제품 및 서비스를 구입할 때 라이트코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타 용도
라이트코인은 스마트 계약과 같은 고급 블록체인 기술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특정 응용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라이트코인(LTC) 실시간 시세
'재테크 > 가상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알위브(AR),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자 (8) | 2023.11.09 |
---|---|
[가상자산] 바이낸스코인(BNB),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자 (6) | 2023.11.09 |
[가상자산] 팬케이크스왑(CAKE),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자 (6) | 2023.11.07 |
[가상자산] 쿠코인셰어(KCS),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자 (4) | 2023.11.07 |
[가상자산] 디와이디엑스(DYDX),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자 (37)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