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대한민국의 게임회사 컴투스에서 만든 블록체인, 엑스플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스플라(XPLA)란?
엑스플라(XPLA)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의 허브 역할을 하는 레이어 1 블록체인으로 웹 3 게임, NFT 마켓플레이스, 메타버스, 블록체인 게임,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엑스플라(XPLA)는 게임회사로 유명한 컴투스가 출시하였고, 원래는 C2X라는 이름으로 테라 체인을 기반으로 시작하였지만 루나 사태 이후로 XPLA로 이름과 메인넷을 변경했습니다. 지속 가능한 에코 시스템, 자체 SDK, 개발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한 다양한 미들웨어 등 선도적인 인프라를 구축합니다.
XPLA는 모두가 참여하는 블록체인으로 기술, 보안, 콘텐츠 등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우수한 역량을 가진 파트너들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장르의 게임과 DApp들이 XPLA 메인넷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를 위해 ‘Play to Own’ 가치를 중심으로 게이머의 소유권과 노력이 존중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엑스플라의 목표 역시 다양한 멀티미디어 플랫폼의 중앙 메인넷을 목표로 하고 있어 여러 기업의 러브콜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의 포괄성을 강조하는 플랫폼의 기술 구조는 상호 운용성과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하며 신뢰할 수 있고 공정하며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환경을 추구하는 제작자와 사용자에게 매력을 강화합니다. NFT를 전문으로 하며 디지털 아이템의 고유한 소유권을 안전하게 허용해 줍니다.
한국의 게임회사에서 만든 종합 엔터테인먼트 블록체인으로 엑스플라 내에서 여러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거대 플랫폼으로서 게임,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등을 사용자들이 더욱 사용하고 싶게 만들어나간다면 충분히 발전가능성이 농후한 프로젝트로 보입니다.
엑스플라(XPLA)의 역사와 리브랜딩
2021년 위메이드는 ‘미르 4 글로벌’을 통해 ‘돈 버는 게임’(P2E)과 토크노믹스(토큰 경제)의 가능성을 보여줬고, 이후 다양한 게임사가 블록체인 게임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그중에도 공격적으로 블록체인 게임 시장에 뛰어든 게임사는 컴투스, 넷마블, 네오위즈입니다.
엑스플라(XLPA)는 컴투스 그룹이라는 막강한 파워를 가진 국내 게임 선두 기업이 만들고 있고, 어떻게 보면 P2E 코인이 처음 나왔던 위믹스보다도 프로젝트를 더욱 완성도 있게 이끌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엑스플라를 개발 전의 컴투스는 C2X라는 코인으로 시작하였는데, 자체 메인넷이 없어 루나 테라의 메인넷을 사용했습니다. 또한 가상자산 거래소공개(IEO) 방식을 통해서 파산한 글로벌 거래소 FTX에서 선보였습니다. 하지만 루나가 망하게 되며 C2X 플랫폼 거래도 일시 중단됐습니다.
그 후 4개월 만에 자체 메인넷을 개발하며, C2X는 텐더민트를 활용해 코스모스 기반의 새로운 메인넷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코인의 이름도 엑스플라(XLPA)로 정하게 됩니다. 엑스플라(XPLA) 브랜드 강화를 위해 ‘C2X NFT 마켓플레이스’와 ‘C2X 게이밍 플랫폼’을 리브랜딩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C2X NFT 마켓플레이스는 ‘X-PLANET’으로, C2X 게이밍 플랫폼은 ‘XPLA GAMES’로 변경됩니다.
하지만 다시 위기가 찾아오는데, 엑스플라 코인을 주로 거래하던 거래소는 FTX였으나, FTX 역시 파산하게 되며 위기를 맞게 됩니다. 하지만 피해자 복구를 위해 최선을 다하며 열심히 복구한 결과 지금의 엑스플라가 되었습니다.
엑스플라는 컴투스를 배후 삼아 어마 무시한 퀄리티의 게임들을 P2E로 무장시킬 수 있으며, 엑스플라는 P2E에서 그치지 않고 게임 NFT 등을 직접 제작하여 마켓 플레이스를 활성화시키고 있습니다. 자체 메인넷이 있어 지갑을 포함한 여러 가지 생태계 확장에 힘쓰고 있습니다.
힘든 시련이 두 차례나 있었지만 컴투스는 매우 잘 극복해 내어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엑스플라는 그만큼 정신력이 탄탄한 컴투스를 필두로 앞으로는 꽃길을 걸어야만 합니다. 이러한 기업이 한국 기업이라는 것이 자랑스럽기까지 합니다.
엑스플라(XPLA) 토큰의 용도
거버넌스
거버넌스 토큰인 XPLA의 소유는 분산 네트워크 투표 시스템을 기반으로 소유자가 생태계 운영 주체로서 권리를 행사함을 의미합니다.
작동
XPLA 토큰은 플랫폼 내에서 다양한 거래 활동을 연결해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플랫폼 참여자들은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NFT를 사고파는 과정에서 XPLA 토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월렛을 통해 XPLA 체인 생태계 내 다양한 토큰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검증
XPLA 토큰의 소유, 스테이킹 및 위임을 통해 XPLA 체인 노드의 운영에 참여할 수 있으며, 노드 운영 참여자는 XPLA 체인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 수수료의 일부를 지급받습니다.
XPLA 토큰의 최대 발행량은 2,000,000,000개이며, 엑스플라 생태계 내에서 여러 용도로 사용됩니다. 투표와 교환, 검증 등에 사용되며, 이는 엑스플라 생태계를 보다 경제적으로 움직이게 합니다.
컴투스가 한국기업이라 괜히 응원하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여 블록체인의 가파른 성장을 이루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세계적으로 손에 꼽히는 블록체인이 되는 그날까지 힘내었으면 좋겠습니다.
엑스플라(XPLA) 실시간 시세
'재테크 > 가상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Seedify.fund(SFUND) 코인, 어떤 코인인지 5분만에 알아보자 (27) | 2024.02.17 |
---|---|
[가상자산] 온도 파이낸스(ONDO) 코인, 어떤 코인인지 5분만에 알아보자 (20) | 2024.02.15 |
[가상자산] 맨틀(MNT) 코인, 어떤 코인인지 5분만에 알아보자 (19) | 2024.02.13 |
[가상자산] 주피터(JUP) 코인, 어떤 코인인지 5분만에 알아보자 (30) | 2024.02.12 |
[가상자산] 파이코인(PI), 어떤 코인인지 5분만에 알아보자 (25) | 2024.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