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데이터의 무제한 저장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하는 분산형 스토리지 네트워크, 알위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알위브(AR)란?
과거에는 위치기반 저장방식인 HTTP URL을 사용해 NFT 콘텐츠 내용들을 저장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이 해킹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등장한 것이 바로 분산형 파일 저장 시스템인 IPFS입니다. IPFS는 전 세계에 탈중앙화된 데이터 스토리지(Data Storage) 공간에 콘텐츠 해시값에 연동되는 파일들을 분산시켜 저장합니다.
IPFS는 중앙화된 클라우드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올랐고, 웹 3.0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시스템으로 주목받았습니다. 그리고 NFT 흥행과 함께 NFT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스토리지 프로젝트로 알위브(Arweave)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알위브(Arweave)는 블록위브(blockweave)라는 탈중앙화된 데이터 스토리지 프로젝트입니다. 알위브는 채굴자가 데이터를 복제할 수 있도록 가상자산의 경제적인 지원금을 창출함으로써 영구적인 저장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알위브는 웹 3에서 생겨나는 모든 데이터를 담아내며 웹 2에서 클라우드가 맡고 있는 역할을 웹 3 세계로 가져온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알위브는 정확히는 블록체인이 아니고, 데이터를 블록의 그래프로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각 블록은 알위브의 기존 두 블록과 연결되어 블록위브를 형성합니다. 알위브는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알위브는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기존 저장 서비스 관련 대기업이 장악한 시장의 질서를 재배열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분산형 스토리지 플랫폼이 미래에는 얼마나 주목받을지 궁금해집니다. 알위브와 같은 플랫폼이 발전하고 상용화된다면 필요한 만큼의 용량을 사용하여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알위브(AR)의 작동원리
알위브는 “개인 간 그리고 새로운 세대 간의 시간을 넘어선 집단적 저장 능력과 정보 공유를 보장”하기 위해 대표적인 페르마웹은 아르위브의 ‘블록위브(blockweave)’에 구축되었습니다.
블록위브는 블록체인 기술의 변형으로 각 블록이 바로 직전 블록과 임의적인 이전 블록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연결된 임의적인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시와 블록 높이에 따라서 정해지는 예측 불가능한 블록으로 알위브는 이러한 블록을 리콜 블록(Recall Block)이라고 부릅니다. 아르위브는 채굴자들이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이들이 무작위의 이전 블록에 액세스 하여 새로운 블록을 추가하고 보상을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블록위브에서 접속증명(proof-of-access)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이는 작업증명의 수정 버전입니다. 접속증명 방식에서는 각 새로운 블록이 하나의 직전 블록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무작위로 이전 블록에 연결되어 있어서 이 두 가지 블록이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해싱됩니다. 채굴자들은 전체 블록체인을 저장할 필요가 없지만, 새로운 블록을 채굴하기 위해 필요한 기존 블록에 대한 접속을 증명하기 위해 추가 정보를 입력하면 인센티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런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좋은 점은 노드들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불필요한 컴퓨팅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되 각각의 노드들이 주어진 환경과 편의에 맞게 알위브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
알위브(AR)의 특징
데이터 지속성
아르위브는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보존될 수 있도록 고려되었습니다.
경제적 인센티브
아르위브의 토큰(AR)은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활발히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참여하면서, 경제적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디지털 톱스토리지
아르위브는 분산된 형태의 디지털 톱스토리지를 제공하여, 블록체인을 통해 안전하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한 시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개방적인 플랫폼
아르위브는 누구나 개방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의 활용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습니다.
알위브(AR) 토큰의 용도
채굴자 보상
네트워크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채굴자에게 보상을 지불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플랫폼 수수료
아르위브에 파일을 저장하려면, 개발자는 데이터의 영구적인 보존을 위해 AR 토큰으로 네트워크 수수료를 지불하여 컨트랙트를 생성하게 됩니다.
인센티브
아르위브는 자사의 AR 토큰을 중심으로 구축된 고유한 인센티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겠다는 사명을 갖고 있습니다.
알위브(AR) 실시간 시세
'재테크 > 가상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FTX코인(FTT),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5분만에 알아보자 (5) | 2023.11.12 |
---|---|
[가상자산] 지엠엑스(GMX),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5분만에 알아보자 (5) | 2023.11.11 |
[가상자산] 바이낸스코인(BNB),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자 (6) | 2023.11.09 |
[가상자산] 라이트코인(LTC),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자 (35) | 2023.11.08 |
[가상자산] 팬케이크스왑(CAKE), 투자하기 전에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자 (6) | 2023.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