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파트 구조 중 벽식 구조, 기둥식 구조, 무량판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벽식 구조
- 기둥 없이 벽이 천장을 받치는 형태
- 위층의 바닥 소음이 벽을 타고 아래로 전달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큼
- 현재 대부분의 아파트가 벽식 구조
- 시공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짧은 기간 내에 공사가 가능하고, 층고가 상대적으로 낮아 더 많은 세대를 확보할 수 있어서 건설사 입장에서는 이윤이 많이 남음
- 벽이 천장을 받치고 있으므로, 벽체를 허물지 못해 구조변경 리모델링이 상대적으로 제한됨
기둥식 구조(라멘 구조)
- 천장에 수평으로 설치한 보와 수직의 기둥이 천장을 받치는 방식
- 바닥에서 전달되는 소음이 보와 기둥을 타고 분산되는 효과가 있음
- 기둥과 기둥 사이에 보가 있고, 그 위에 슬라브가 올라가 무량판 구조보다 층고가 높고, 층간소음에 상대적으로 강함
- 공사비가 가장 비쌈
- 층고가 가장 높음
- 기둥만 건들지 않으면 벽을 허물고 원하는 구조로 변경 가능하여 리모델링이 용이함
무량판 구조
- 기둥식 구조에서 보를 뺀 구조
- 기둥식 구조 다음으로 층간소음이 적고, 층고가 높음
- 기둥식 구조처럼 원하는 구조로 변경 가능하고, 보가 없어서 천장으로 지나는 설비의 설치 및 이동이 수월
- 기둥식 구조 다음으로 공사비가 비쌈
아파트 구조 확인하기
- 사이트 접속 → 오른쪽 바에서 지역 선택 → 지번 또는 도로명주소로 건축물 검색 → 건축물 정보 탭 → 건축물 선택 →층별 현황에서 구조 확인
부동산정보 통합 열람
일사편리 부동산정보 조회 연계 서버 접속장애로 인하여 서비스 점검중입니다. 서버 점검 시간 중 토지이용계획 열람은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바로가기]를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용
kras.seoul.go.kr
- 벽식구조 : 철근콘크리트조,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 평슬래브, 내력벽식 등
- 기둥식 구조 : 철골철근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라멘조 등
-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나올 수 있는데, 이 경우는 네이버 등에서 도면을 찾아보고 판단 가능함. 이 경우는 아래 기둥식 아파트 리스트를 제외하고, 네이버 평면도에서 봤을 때 회색 음영(기둥) 부분이 있으면 무량판 구조
- 평면도의 'X'는 기둥이 아닌 피트 공간으로, 배관 등이 통하는 통로
반응형
'재테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정책] 2023년 생애최초 주택 취득세 감면 혜택 (31) | 2023.07.15 |
---|---|
[부동산 지식] 재건축과 재개발 차이점 알아보기 (70) | 2023.07.14 |
[부동산 지식] 전용면적, 공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알아보기 (61) | 2023.07.12 |
[부동산 지식] 일반아파트와 주상복합 아파트의 차이점 알아보기 (129) | 2023.07.11 |
[부동산 지식] 브역대신평초 알아보기 (68)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