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부동산

[부동산 지식] 전세가율이 무엇을 의미할까?

by KTC 2023. 7. 19.

목차

    반응형

    안녕하세요!

    부동산 투자의 지표 중 하나로 볼 수 있는 전세가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세가율이란?

    •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
    • 전세가율 = (전셋값/매매값) x 100
    • 매매값이 10억이고 전세값이 5억이면 전세가율은 50%

     

    전세가율이 갖는 의미

    ∨ 전세가율이 높아지는 아파트

    • 현재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고, 좋은 입지를 가진 아파트라면 저평가된 아파트일 수 있음

    대연동 대연힐스테이트푸르지오(출처: 호갱노노)

     

    • 반대로 주변 호재가 없고, 추후 개발 여지가 희박하다면 미래가치가 낮으므로 전세가율이 높음

    안림동 충주엘리시아(출처 : 호갱노노)

     

    • 한국의 부동산 사이클로 미루어보면, 매매가격 변동이 적지만 전세가의 상승으로 전세가율이 높아지기 시작하는 경우는 부동산 상승장의 초입일 수 있음
    • 부동산 하락장 및 정체기에 전세가율이 높고, 좋은 입지를 가진 아파트라면 미래가치를 볼 때 매수가 좋은 선택일 수 있음

     

     

    ∨ 전세가율이 낮아지는 아파트

    • 전세가율이 극명하게 낮은 아파트는 보통 재건축, 재개발을 앞둔 아파트, 즉 연식이 오래되어 실거주보다 미래가치를 고려하여 매매가가 높은 아파트

    대치동 한보미도맨션 아파트(출처 : 호갱노노)
    이촌동 한강맨션 아파트(출처 : 호갱노노)

     

    • 부동산 호황기가 도래하여 전세가와 매매가가 함께 올라가지만, 전세가보다 매매가의 상승속도가 더 빠른 아파트 (부동산 상승기에는 대부분의 아파트가 해당됨)

    잠실동 잠실엘스(출처: 호갱노노)

     

    • 매매가격의 변동이 적지만 전세가격이 떨어져 전세가율이 낮아지는 상황은 보통 신규 아파트 입주장에서 발생함
    • 부동산 상승기에 매매가가 상승하여 전세가율이 낮아지고, 입지 환경이 좋은 아파트라면 매도가 좋은 선택일 수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