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응형
안녕하세요!
부동산 투자의 지표 중 하나로 볼 수 있는 전세가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세가율이란?
-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
- 전세가율 = (전셋값/매매값) x 100
- 매매값이 10억이고 전세값이 5억이면 전세가율은 50%
전세가율이 갖는 의미
∨ 전세가율이 높아지는 아파트
- 현재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고, 좋은 입지를 가진 아파트라면 저평가된 아파트일 수 있음
- 반대로 주변 호재가 없고, 추후 개발 여지가 희박하다면 미래가치가 낮으므로 전세가율이 높음
- 한국의 부동산 사이클로 미루어보면, 매매가격 변동이 적지만 전세가의 상승으로 전세가율이 높아지기 시작하는 경우는 부동산 상승장의 초입일 수 있음
- 부동산 하락장 및 정체기에 전세가율이 높고, 좋은 입지를 가진 아파트라면 미래가치를 볼 때 매수가 좋은 선택일 수 있음
∨ 전세가율이 낮아지는 아파트
- 전세가율이 극명하게 낮은 아파트는 보통 재건축, 재개발을 앞둔 아파트, 즉 연식이 오래되어 실거주보다 미래가치를 고려하여 매매가가 높은 아파트
- 부동산 호황기가 도래하여 전세가와 매매가가 함께 올라가지만, 전세가보다 매매가의 상승속도가 더 빠른 아파트 (부동산 상승기에는 대부분의 아파트가 해당됨)
- 매매가격의 변동이 적지만 전세가격이 떨어져 전세가율이 낮아지는 상황은 보통 신규 아파트 입주장에서 발생함
- 부동산 상승기에 매매가가 상승하여 전세가율이 낮아지고, 입지 환경이 좋은 아파트라면 매도가 좋은 선택일 수 있음
반응형
'재테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매매] 부동산 매매(매수) 절차 알아보기 (76) | 2023.07.21 |
---|---|
[부동산 투자] 부동산에 투자하려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들 (89) | 2023.07.20 |
[부동산 지식] 부동산 중개수수료 상한요율과 협상방법 (48) | 2023.07.18 |
[부동산 정책] 주택, 분양권, 입주권 양도소득세 알아보기 (147) | 2023.07.17 |
[부동산 정책] 다주택자 주택 취득세 완화 (52) | 2023.07.16 |